본문 바로가기

공부기록

[DAY11] 05. 서비스 기획부터 런칭, 운영, 회고까지 - 요구사항 정의서PRD / WBS

http://bit.ly/3Y34pE0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오늘의 공부 완료 오공완DAY11


05. 서비스 기획부터 런칭, 운영, 회고까지

 
05-04. 요구사항 정의서(PRD)
 

  • PRD : 1~2장 내외로 제품 요구사항을 정의한 문서로 별도로 작성하거나 기획서에 포함시키기도 함
  • 구현하고자 하는 최소 기능을 정의하는 내용

 

  1.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 정의
      • 기회하는 단계에서 왜 이 제품/서비스를 만들어야 하는가에 중점을 둔 문서
      • 각 이해관계자들의 관점 차이를 해소, 기획한 의도 및 주요기능을 유관부서 등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는 문서 
    • PRD 구성요소
      • 개요
      • 기회 및 임팩트
      • 제품 정의 및 요구사항, 마일스톤, FAQ
    • PRD 개요 작성하기
      • 문제 정의
      • 목적 및 배경
      • 주요 사용자(고객)
      • 유저스토리/유저 저니맵 : 고객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저스토리 작성
      • 사용자 가치 : 해당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작성
      • 개발 원칙 : 필수 개발 기능을 우선순위로 작성
    • 기회 및 임팩트 작성하기
      • 기회 : SWOT 분석 등 활용
      • 가설 및 가설 검증 지표 : 우리 서비스가 고객이 직면한 어떤 문제를 해결 가능할 것이라 가정, 해당 서비스로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도록 고민
      • 임팩트 예층 (사용자가 얻게 될 가치) : 제품이 제공하는 사회적 가치
    • 제품 정의 및 요구사항, 마일스톤, FAQ 작성
      • 구체적인 제품 정의 및 요구사항 기술
      • 마일스톤 또는 WBS
      • FAQ
  2. 프로젝트 일정관리 - WBS
    • WBS(Work Breakdown Structure)
      • 정의
        •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업무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 가능한 기초 문서
        • Work Breakdown Structure의 약자로 업무 분업 구조 또는 작업 분해 구조를 의미
        • 프로젝트 전체 업무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작은 요소로 세분화하는 단계
      • 목적
        • 효율적인 업무 수행
        • 작업의 책임과 역할 명확화
        • 작업 진척 모니터링
      • 구성요소
        • 구분 : 큰 단위 업무 기재
        • Task : 가장 작은 단위로 쪼개어진 세부 업무 명칭 기재
        • 담당자(담당조직) : Task를 수행하게 될 담당자 기재
        • 기간(시작일 및 종료일) : Task의 시작과 종료일자 기재
        • 일정 차트(간트 차트) : 전체기간 대비 각 Task의 소요 기간을 색으로 표기
        • 비고 : Task 수행 시 예외사항이나 제약사항을 기재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