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기록

[DAY14] 05. 서비스기획부터 런칭, 운영, 회고까지 - 테스트/서비스오픈

http://bit.ly/3Y34pE0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오늘의 공부완료 오공완DAY14

05. 서비스기획부터 런칭, 운영, 회고까지
 
09. 테스트
 

  • 서비스 기획의 단계
    • 분석 :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의 방향과 목표 설계
    • 서비스설계 : PRD/와이어프레임/SB작성 개발 산출물
    • 디자인,개발 : 산출물을 바탕으로 서비스 개발
    • 테스트 : 개발된 서비스 테스트 진행
    • 오픈 운영
  • QA(Quality Assurance)
    • 일정한 효율과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는 활동
    • 개발 완료 후 서비스 오픈 전 안정적으로 작동 되는지, 문제될 만한 사항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는 단계
    • QA팀에서 진행하게 되나, PM 또는 기획자가 진행하는 경우도 있음
      • 기능단위 테스트 : 개발팀 내부에서 진행하거나, PM 등이 기능단위 테스트를 진행할 세니티 테스트라고 불리기도 함
      • QA : 개발된 서비스 전체의 동선을 살피며, 기획된 대로 동작하는지 등을 살펴보는 단계 
    • 순서
      • 기획서 분석
      • 테스트 범위 설정(단말 등)
      •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T/C) 검토 및 작성
      • 테스트 진행 -> 버그 리포트
      • 최종 테스트 진행
      • 결과 리포트 작성
    • 테스트 케이스
      • IA를 구성했던 depth를 기준으로 작성되며 순서대로 진입했을 때의 결과를 확인
    • 체크리스트
      • QA팀에 요청하기 전 스스로 기획한 기능이 잘 개발되어 있는지 사전 테스트를 진행
      • QA팀에 요청할 때는 충분한 일정을 감안하여 요청하여야 함

10. 서비스 오픈
 

  • 서비스 오픈전 (D-7)
    • 최종 QA 및 테스트 결과 확인하기
    • 서버, 앱 배포 일정, 배포 시나리오 확인하기
    • 마케팅/프로모션 확인하기
    • 고객센터 및 유관부서 업무메뉴얼 작성 및 서비스 오픈 공유
  • 오픈당일
    • 오픈 이후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 진행
    • 모니터링
  • 오픈 이후
    • 고객센터, 앱스토어 리뷰 등에 올라오는 CS대응 및 개선 포인트 찾기
    • 지속적인 서비스 로그 모니터링
    • 일별/주별/월별 등 지표 분석

  •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about-line-qa/
  • QA의 역할
    • 프로덕트 품질의 기준을 제시하고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활동하는 역할
    • 커뮤니케이션과 가이드로 프로젝트 진행 중 각 단계별 담당 팀원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진행하며 필요한 경우 가이드하는 역할
    • 보조자(Assistor) 역할로 업무를 진행하는 모든 과정에서 전체 과정을 확인하며 보조하고 도와주는 역할
    • 분석과 관리 역할로 프로젝트 자체 또는 명세서나 개발 아키텍처, 이슈들을 분석하고 관리하는 역할
    • 테스팅 QA 단계와 그 전후 과정에서 테스팅 활동을 수행하는 역할
    • 피드백과 개선 역할인데, 업무 과정을 평가하며 필요한 것들을 개선하는 역할

LINE의 QA는 어떻게 일할까?

LINE DEVELOPER DAY 2020에서 김동성 님이 발표하신 How is the difference between LINE QA and QA? 세션 내용을 옮긴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LINE에서 서비스 ...

engineering.linecorp.com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