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록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 대소문자 바꿔서 출력하

PROSC 2025. 4. 4. 15:32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let input = [];

rl.on('line', function (line) {
    input = [line];
}).on('close',function(){
    let str = input[0];
    let result = "";
    for(i =0;i<str.length;i++){
        if(str[i]===str[i].toUpperCase()){
            result += str[i].toLowerCase();
        }else{
            result += str[i].toUpperCase();
        }
    }
    console.log(result);
});

 

let result = "";

=> str을 변환하여 저장해야하는 문자열이 필요하여 선언

result를 초기화하지 않으면 undefined 결과 출력될 수 있음

문자열에 += 연산자는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추가해서 저장한다는 단축 연산자

숫자에 쓰면 누적합계/문자열에 쓰면 이어붙이기

 

+=와 push()의 차이

+= 는 문자열 또는 숫자에 사용하며 하나의 문자열로 저장됨 / 문자열은 이어붙이기, 숫자는 누적합산으로 처리

push()는 배열에 사용하며 배열에 요소가 추가됨

let result = []

result.push();로 요소 추가

 


forEach()로도 적용가능

 

for문과 forEach()의 차이

for문은 숫자 범위/배열 등 모두 가능하나 for each는 배열(array) 전용

for문은 continue,break 등 반복 제어가 가능하나 for each는 불가

forEach는 함수형 스타일이며 가독성이 좋다